이루왕's avatar
이루왕

@eeruwang@essay.eeruwang.me

푸코 말 잘했다!

푸코는 플라톤주의가 '환상-사건(phantasm-event)'을 억제하려는 의지, 그리고 '어리석음(stupidity)'을 배제하려는 노력에 달려 있다고 주장합니다. 들뢰즈에 따르면, 재현적 사유는 자신의 적용 범위를 독단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어리석음을 피하며, 이는 '오류(error)'를 통해 사유를 미리 정해진 원리에 따라 반응하도록 강제합니다. 이는 사유를 빈곤하게 만들며, 사회와 예술 작품을 경멸해야만 철학의 영역에 머물 수 있다고 여겨지게 합니다.

In this mention of stupidity, Foucault is not suggesting that society at large is stupid, but rather that philosophy in its haste to avoid grappling with stupidity removes itself to the security of categories in which one is not stupid but simply wrong. (Tanke, J.J., 2009. Foucault’s Philosophy of Art: A Genealogy of Modernity, Philosophy, aesthetics and cultural theory. Continuum, London ; New York, 124)